월별 글 목록: 2017년 4월월

Noesis 라는 단어의 출처는 어디일까?

플라톤의 대화편이 테아이테토스를 읽다가 갑자기 ‘노에시스’라는 단어가 생각나서 찾아봤더니 후설:노에시스/노에마이라는 글을 발견했다. 이 곳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중기부터 후기에 걸쳐 후설은 이 두 번째의 측면을 노에시스적 계기, 줄여서 노에시스(Noesis)라 불렀다.(좀 더 넓은 의미로, 지향적 체험 전체를 노에시스로 부르기도 한다.) 이것을 후설이 그리스어 누스’Nous(정신, 이성)’ 와 ‘노에인Noein(사유하다, 지각하다, 직관하다)’을 결합시켜 만들어낸 술어이다. 노에시스를 직역하면 ‘의식작용’이 된다.

진짜 그런가 하고 희랍어 텍스트에 이 단어가 들어있는 곳이 없는지 다음과 같이 Noesis를 검사해봤다. Perseus under Philologic: searching for νόησις

링크를 눌어보면 아시겠지만, 아쉽게 24군데에서 이 단어가 발견되었다. 결국 이 단어는 후설이 자신의 철학 체계에 끌어다 쓴 것일 뿐, 조어한 것은 아닐 것 같다.

터미널을 이용해서 현재 Raspberry Pi 서버의 IP 번호를 알고 싶을 때?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서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터미널을 사용하다가 서버의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에는 조금 부식한 명령어인 ifconfig를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Raspberry Pi를 사용하다고 조금 더 쉬운 명령어를 알았습니다. hostname -I이라고 터미널에서 쓰면 바로 IP번호가 나옵니다. 이게 더 단순하게 이쁘게 나오네요! 아마도 파이가 우분투를 사용하니, 우분투를 사용하는 리눅스에서도 이 명령어는 돌아갈 것 같습니다. 맥에서는 이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네요. 참고하세요. 이 내용은 Worksheet – Build a Python Web Server with Flask | Raspberry Pi Learning Resources에서 찾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