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을 사용하면서 csv파일을 맥, 윈도우, 리눅스 간에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맥과 리눅스 간에는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중 UTF-8을 사용하면 그리 문제없이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윈도우가 끼어들면 문제가 복잡합니다. 윈도우에서 만들어진 csv 파일이 맥이나 리눅스에서 잘 안 읽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고수이신 분들은 다 쉽게 처리하시겠지만, 저는 항상 이런 경우 문제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아주 쉬운 방법을 하나 찾았습니다. 맥으로 파일을 보내기 전에 윈도우에서 보낼 csv 파일을 윈도우에서 메모장을 엽니다. 만약 파일이 크면 잘 안 열릴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윈도우 10에서는 메모장이 100MB까지는 여는 것 같습니다.
그런 다음 파일 메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은 다이얼로그박스가 나옵니다. 여기서 아래와 같이 인코딩을 UTF-8을 바꾸신 다음 저장해주세요. 그런 다음 맥으로 보내시면, 문제 없이 R에서는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참고로 RStudio 기본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하니, 한글이 들어 있어도 pdf 파일로 잘 변환됩니다. 아래 내용은 기본 파일에서 앞부분만 고치고 한글이 들어 있는 내용을 한 줄 넣은 것입니다.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이것은 [R Markdown](http://rmarkdown.rstudio.com) 노트북입니다.
This is an [R Markdown](http://rmarkdown.rstudio.com) Notebook. When you execute code within the notebook, the results appear beneath the code.
Try executing this chunk by clicking the *Run* button within the chunk or by placing your cursor inside it and pressing *Cmd+Shift+Enter*.
“`{r}
plot(cars)
“`
Add a new chunk by clicking the *Insert Chunk* button on the toolbar or by pressing *Cmd+Option+I*.
When you save the notebook, an HTML file containing the code and output will be saved alongside it (click the *Preview* button or press *Cmd+Shift+K* to preview the HTML file).
RStudio에서 새 파일 에서 R Markdown은 선택하신 후 이미 만들어진 내용을 다 지우신 다음, 위의 코드를 붙여넣기를 하신 다음, knit라는 버튼을 눌러서, HTML과 pdf 파일로 변환하시면, 한글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pdf를 만드시려면 Latex를 설치하셔야 됩니다.